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통령배 전국남녀배구대회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구분명칭
프로1군V-리그
2군체이서 매치, V-리그2가칭(추진 예정)
혼합프로배구 컵 대회
국제한·중·일 남자 클럽 국제배구대회 | 한·일 V리그 TOP매치 | 한국-태국 올스타전 | 아시아 배구단 선수권 대회(AVC 클럽 챔피언십) (남자 · 여자) | 세계 배구단 선수권 대회(FIVB 클럽 챔피언십) (남자 · 여자)
실업한국실업배구연맹전 | 한국실업배구연맹회장배 종합선수권대회
아마추어종합전국남녀종별배구선수권대회 | 전국체육대회 |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
대학대학배구리그 | 전국대학배구대회
중고교옥천향수배(동계스토브리그) | 춘계연맹전 | 태백산배 | 정읍 내장산배* | 대통령배 | CBS배
*舊 정향누리배는 영광배와 해상왕국소가야배와 통폐합했다.
폐지대통령배 전국남녀배구대회




파일:1984년 대통령배 전국남녀배구대회.jpg
대통령배 전국남녀배구대회
백구의 대제전

1. 개요
2. 대회 변천
3. 역사
4. 역대 스폰서
5. 역대 대회
6. 남자부
6.1. 역대 우승 구단
6.2. 역대 MVP와 신인왕
6.3. 역대 베스트 6
6.4. 기타 수상
7. 여자부
7.1. 역대 우승 구단
7.2. 역대 MVP와 신인왕
7.3. 역대 베스트 6
7.4. 기타 수상
8. 역대 지도자상과 심판상
9. 해체 구단
9.1. 남자부
9.2. 여자부
10. 역대 신인 드래프트
10.1. 1992년
10.2. 2002년
11. 관련 틀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프로 배구 리그 V-리그의 전신으로 1984년부터 2004년까지 존재한 실업(세미프로) 리그다.


2. 대회 변천[편집]


  • 대통령배 전국남녀배구대회 (1984~1994)
  • 한국배구 슈퍼리그 (1994~2003)
  • V-투어(V-Tour) (2004)


3. 역사[편집]


과거 대한민국 배구는 1970~80년대에 세계에서도 강팀으로 꼽혔다. 국제대회에서 늘 파이널4에 들 정도의 실력을 보여왔다. 특히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여자배구가 구기종목 사상 최초의 메달(동메달)을 수상하면서 그 인기가 하늘을 찔렀다. 남자배구 역시 1978년 세계선수권대회 4강에 들면서 최전성기를 같이 구가했다.

배구에 대한 팬들의 인기에 부응하기 위해 기존의 실업연맹전을 1984시즌부터 '대통령배 배구대회'로 세미프로화 하여 겨울스포츠로 정착시키기에 이른다. '배구대제전'이라고도 하며 이 때부터 불렸던 애칭이 '백구의 대제전'.[1]

이 당시 남자부는 고려증권, 현대자동차서비스, 금성이 중심이었고[2] 여자부는 미도파, 현대의 라이벌전이 벌어졌다. 특히 여자부 결승전은 잠실실내체육관에 1만 4천여명을 동원할 정도로 최고의 겨울철 인기스포츠로 자리잡았다.[3] 그리고 최평웅 캐스터, 유수호 캐스터, 허주 캐스터, 오관영 해설의 입담 역시 이 대회 중계를 보는 시청자들의 귀를 즐겁게 했다.

대통령배 대회와는 별개의 대회였던 한국실업배구대제전의 1994년 대회 포스터는 소실되지 않고 남아 있다. 모토는 '가자! 장충체육관으로'.



1994-95시즌부터 '슈퍼리그'로 개칭했고 1995년 삼성화재가 실업배구에 뛰어든다. 슈퍼리그 개칭 이후 남자부는 삼성화재가 1997년부터 2005시즌까지 8연패를, 여자부는 호남정유-LG정유가 9연패(1990~99시즌), 현대건설이 5연패(2000~05시즌)를 거뒀다. 그러나 특정 구단의 장기 독주는 리그 흥행에 악재로 작용했고 결국 많은 배구 팬들이 발길을 돌렸다. 또한 남자 농구 리그가 1997년 프로화에 먼저 성공하면서 많은 팬을 농구에 빼앗기게 된다.

지지부진했던 남녀 배구 리그의 프로화는 일종의 시범적 프로리그 대회인 V-투어를 2004년에 시행하면서 본격화됐고 2005년에 KOVO가 정식으로 창립되면서 프로리그인 V-리그가 정식 출범했다.


4. 역대 스폰서[편집]




5. 역대 대회[편집]


대회명기간장소
제1회 대통령배1984년 1월 14일~3월 25일서울, 전주, 광주, 부산, 대구, 마산, 대전
제2회 대통령배1985년 1월 12일~3월 3일서울, 광주, 전주, 수원, 대구, 부산, 대전
제6회 대통령배1988년 12월 10일~1989년 2월 26일서울, 대전, 전주, 광주, 창원, 울산, 대구, 부산


6. 남자부[편집]



6.1. 역대 우승 구단[편집]


대회 명칭우승준우승3위
제1회 대통령배고려증권경기대학교현대자동차서비스
제2회 대통령배금성인하대학교
제3회 대통령배현대자동차서비스한양대학교금성
제4회 대통령배금성경기대학교
제5회 대통령배고려증권대한항공
제6회 대통령배고려증권현대자동차서비스
제7회 대통령배금성
제8회 대통령배한양대학교금성현대자동차서비스
제9회 대통령배상무고려증권
제10회 대통령배고려증권현대자동차서비스성균관대학교
제11회 대통령배현대자동차서비스고려증권상무
95 슈퍼리그LG화재성균관대학교
96 슈퍼리그고려증권현대자동차서비스LG화재
97 슈퍼리그삼성화재고려증권
98 슈퍼리그LG화재
99 슈퍼리그대한항공현대자동차서비스
2000 슈퍼리그현대자동차한양대학교
2001 슈퍼리그상무
2002 슈퍼리그LG화재현대캐피탈
2003 슈퍼리그현대캐피탈대한항공
2004 V-Tour

구단우승준우승
삼성화재8회97, 98, 99, 00, 01, 02, 03, 040회
고려증권6회84, 85, 88, 90, 93, 963회87, 92, 94
현대캐피탈5회86, 87, 87, 94, 9510회88, 90, 93, 96, 97, 98, 00, 01, 03, 04
한양대학교1회91[4]1회86
상무1회920회
LG화재0회5회85, 87, 91, 95, 02
경기대학교0회1회84
대한항공0회1회99


6.2. 역대 MVP와 신인왕[편집]


대회 명칭MVP신인왕
제1회 대통령배장윤창 (고려증권)없음
제2회 대통령배유중탁 (고려증권)없음
제3회 대통령배김호철 (현대차)서남원 (서울시청)
제4회 대통령배이종경 (현대차)마낙길 (성균관대)
제5회 대통령배이종경 (현대차)하종화 (한양대)
제6회 대통령배이경석 (고려)강성형 (한양대)
제7회 대통령배장윤창임도헌 (성균관대)
제8회 대통령배하종화김병선 (성균관대)
제9회 대통령배신영철김세진 (한양대)
제10회 대통령배이재필신진식 (성균관대)
제11회 대통령배강성형이인구 (한양대)
슈퍼리그임도헌장병철 (성균관대)
이성희손석범 (한양대)
김세진신선호 (성균관대)
신진식이경수 (한양대)
신진식박재한 (경기대)
김세진없음
신진식곽승철 (성균관대)
김세진강동진 (성균관대)
신진식이철규 (성균관대)
V-Tour김세진홍정표 (경희대)


6.3. 역대 베스트 6[편집]


연도레프트라이트센 터세터
1984강만수강두태장윤창 (고려증권)유중탁 (고려증권)이종경신영철
1985강두태김상권장윤창 (고려증권)한장석홍기택김호철
1986강두태 (금성)양진웅 (한앙대)신대영 (한앙대)박형용 (현대)문용관 (현대)김호철 (현대)
1987이채언강두태이상열이종경박형용최봉호
1988이채언최천식장윤창이종경이상열김일성
1989이재필 (고려)노진수 (현대)장윤창 (고려)신대영 (현대)김경운 (KAL)이경석 (고려)
1990노진수신대영장윤창정의탁이상열이경석
1991하종화마낙길강성형윤종일이상열최영준
1992노진수마낙길오욱환정의탁박종찬신영철
1993박삼룡하종화장윤창정의탁김병선신영철
1994하종화박삼룡강성형박종찬김세진김성현
1995임도헌 (현대서비스)신진식 (성균관대)오욱환 (LG화재)윤종일 (현대서비스)후인정 (경기대)진창욱 (현대서비스)
1996이수동임도헌문병택박선출제희경이성희
1997신진식임도헌김세진박선출이영택이성희
1998신진식강호인김세진김상우방신봉신영철
1999신진식박희상김세진박선출방신봉방지섭
2000신진식 (삼성화재)이경수 (한양대)김세진 (삼성화재)방신봉 (현대자동차)박종찬 (현대자동차)방지섭 (삼성화재)


6.4. 기타 수상[편집]


연도서브상스파이크서브상리베로
1995김기중 (성균관대)
2000정평호 (성균관대)후인정 (현대자동차)여오현 (홍익대)


7. 여자부[편집]



7.1. 역대 우승 구단[편집]


연도대회 명칭우승준우승3위
1984년제1회 대통령배미도파현대한일합섬
1985년제2회 대통령배현대미도파한일합섬
1986년제3회 대통령배현대미도파한일합섬
1987년[A]제4회 대통령배현대미도파한일합섬
제5회 대통령배대농한일합섬현대
1988년제6회 대통령배현대호남정유선경인더스트리
1990년제7회 대통령배현대대농선경
1991년제8회 대통령배호남정유현대대농
1992년제9회 대통령배호남정유한일합섬
1993년제10회 대통령배호남정유현대한일합섬
1994년제11회 대통령배호남정유한일합섬흥국생명
1995년슈퍼리그호남정유[5]현대
1996년호남정유한일합섬선경
1997년LG정유선경한일합섬
1998년LG정유SK케미칼흥국생명
1999년LG정유현대건설담배인삼공사
2000년현대건설LG정유한국도로공사
2001년현대건설LG정유한국담배인삼공사
2002년현대건설한국담배인삼공사LG정유
2003년현대건설한국도로공사KT&G
2004년V-Tour(세미프로)현대건설한국도로공사KT&G

구단우승준우승
현대건설10회85, 86, 87[4회], 88, 90, 00, 01, 02, 03, 044회84, 91, 93, 99
LG정유9회91, 92, 93, 94, 95, 96, 97, 98, 993회88, 00, 01
미도파/대농2회84, 87[5회]4회85, 86, 87[5회], 90
한일합섬0회4회87[4회], 92, 94, 96
SK케미칼0회2회97, 98
도로공사0회2회03, 04
KT&G0회1회02


7.2. 역대 MVP와 신인왕[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33.3%><rowbgcolor=#fff,#191919> 제1회 (1984) ||<width=33.3%> 제2회 (1985) ||<width=33.3%> 제3회 (1986) ||
|| 박미희
미도파 / 센터 || 이은경
미도파 || 김정순
미도파 ||
||<rowbgcolor=#fff,#191919> 제4회 (1987) || 제5회 (1987) || 제6회 (1988) ||
|| 이은경
현대 || 이운임
대농 || 양혜숙
현대 ||
||<rowbgcolor=#fff,#191919> 제7회 (1990) || 제8회 (1991) || 제9회 (1992) ||
|| 유영미
현대 || 장윤희
호남정유 / 레프트 || 이도희
호남정유 / 세터 ||
||<rowbgcolor=#fff,#191919> 제10회 (1992) || 제11회 (1993) || '95 슈퍼리그 ||
|| 홍지연
호남정유 / 센터 || 박수정
호남정유 / 센터 || 장윤희
호남정유 / 레프트 ||
||<rowbgcolor=#fff,#191919> '96 슈퍼리그 || '97 슈퍼리그 || '98 슈퍼리그 ||
|| 정선혜
LG정유 / 레프트 ||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
||<rowbgcolor=#fff,#191919> '99 슈퍼리그 || 2000 슈퍼리그 || 2001 슈퍼리그 ||
||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 구민정
현대건설 / 레프트 || 장소연
현대건설 / 센터 ||
||<rowbgcolor=#fff,#191919> 2002 슈퍼리그 || 2003 슈퍼리그 || 2004 V-Tour ||
|| 강혜미
현대건설 / 세터 || 장소연
현대건설 / 센터 || 구민정
현대건설 / 레프트 ||
||<-3><bgcolor=#ee82ee>V-리그 챔피언 결정전 MVP||
||<-3><bgcolor=#59a1ad> MVP · 신인상 · 베스트 6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rowbgcolor=#fff,#191919> 제3회 (1986) ||<width=25%> 제4회 (1987) ||<width=25%> 제5회 (1987) ||<width=25%> 제6회 (1988) ||
|| 지경희
현대건설 / 레프트 || 김귀순
한일합섬 || 남순옥
태광산업 / 센터 || 홍지연
호남정유 / 센터 ||
||<rowbgcolor=#fff,#191919> 제7회 (1990) || 제8회 (1991) || 제9회 (1992) || 제10회 (1992) ||
|| 류연수
선경 / 센터 || 박수정
호남정유 / 센터 || 박미경
선경 / 라이트 || 장소연
선경 / 센터 ||
||<rowbgcolor=#fff,#191919> 제11회 (1994) || '95 슈퍼리그 || '97 슈퍼리그 || '98 슈퍼리그 ||
|| 정선혜
호남정유 / 레프트 || 강혜연
효성 / 센터 || 이명희
현대건설 / 센터 || 이윤희
LG정유 / 레프트 ||
||<rowbgcolor=#fff,#191919> '99 슈퍼리그 || 2000 슈퍼리그 || 2002 슈퍼리그 || 2003 슈퍼리그 ||
|| 김진이
담배인삼공사 / 레프트 || 한유미
현대건설 / 레프트 || 박경낭
담배인삼공사 / 라이트 || 한송이
한국도로공사 / 레프트 ||
||<rowbgcolor=#fff,#191919> 2004 V-Tour ||<-3><|2>※ 제1회, 2회 대통령배와 '96, 2001 슈퍼리그 신인왕 없음.
※ 프로 출범 이후 2005 신인왕부터는 V-리그 여자부 신인상
||
|| 지정희
KT&G / 센터 ||
||<-4><bgcolor=#59a1ad> MVP · 신인상 · 베스트 6 ||




대회 명칭MVP신인왕
제1회 대통령배박미희 (미도파)없음
제2회 대통령배이은경 (현대)없음
제3회 대통령배김정순 (현대)지경희[6] (현대)
제4회 대통령배이은경 (현대)김귀순 (한일합섬)
제5회 대통령배이운임 (대농)남순옥 (태광산업)
제6회 대통령배임혜숙 (현대)홍지연 (호남정유)
제7회 대통령배윤영미류연수 (선경)
제8회 대통령배장윤희박수정 (호남정유)
제9회 대통령배이도희박미경 (선경)
제10회 대통령배홍지연장소연 (선경)
제11회 대통령배박수정정선혜 (호남정유)
슈퍼리그장윤희강혜연 (효성)
정선혜없음
장윤희이명희 (현대)
장윤희이윤희 (LG정유)
장윤희김진이 (담배인삼공사)
구민정한유미 (현대건설)
장소연없음
강혜미박경낭 (담배인삼공사)
장소연한송이 (한국도로공사)
V-Tour(세미프로)구민정지정희 (KT&G)


7.3. 역대 베스트 6[편집]


||
[ 펼치기 · 접기 ]


||<|11><tablebgcolor=#59a1ad><tablewidth=100%><width=50px><colcolor=#fff> 대통령배 ||<colcolor=#fff> 제1회 ||<colbgcolor=#fff,#191919> 박미희 (미도파) · 김옥순 (미도파) · 이은경 (현대) · 김정순 (현대) · 정옥남 (한일) · 이영선 (호유) ||
|| 제2회 || 김정순 (현대) · 김종순 (현대) · 이운임 (미도파) · 박미희 (미도파) · 화경련 (한일) · 이영선 (호유) ||
|| 제3회 || 이은경 (현대) · 김정순 (현대) · 이운임 (미도파) · 박미희 (미도파) · 윤정혜 (한일) · 김애경 (호유) ||
|| 제4회 || 이은경 (현대) · 김정순 (현대) · 지경희 (현대) · 주선진 (미도파) · 이운임 (미도파) · 심순옥 (한일) ||
|| 제5회 || 이운임 (대농) · 박미희 (대농) · 이명희 (대농) · 김귀순 (한일) · 심순옥 (한일) · 지경희 (현대) ||
|| 제6회 || 임혜숙 (현대) · 지경희 (현대) · 유영미 (현대) · 장윤희 (호유) · 김성민 (호유) · 박혜경 (선경) ||
|| 제7회 || 임혜숙 (현대) · 지경희 (현대) · 유영미 (현대) · 박미희 (대농) · 장경희 (대농) · 정학숙 (선경) ||
|| 제8회 ||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김성민 (호유) · 지경희 (현대) · 이인숙 (현대) · 박미희 (대농) ||
|| 제9회 || 이도희 (호유) · 홍지연 (호유) · 박수정 (호유) · 김호정 (호유) · 김영숙 (현대) · 김남순 (한일) ||
|| 제10회 ||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박수정 (호유) · 지경희 (현대) · 이인숙 (현대) · 김남순 (한일) ||
|| 제11회 ||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홍지연 (호유) · 박수정 (호유) · 김남순 (한일) · 정은선 (흥국) ||
||<|7> 슈퍼리그 || 1995 ||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홍지연 (호유) · 정선혜 (호유) · 이인숙 (현대) · 장소연 (선경) ||
|| 1996 ||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홍지연 (호유) · 정선혜 (호유) · 김남순 (한일) · 장소연 (선경) ||
|| 1997 || 장윤희 (LG) · 강혜미 (선경) · 홍지연 (LG) · 정선혜 (LG) · 김남순 (한일) · 장소연 (선경) ||
|| 1998 || 장윤희 (LG) · 강혜미 (선경) · 정선혜 (LG) · 박수정 (LG) · 이윤희 (LG) · 장소연 (선경) ||
|| 1999 || 장윤희 (LG) · 김귀현 (LG) · 홍지연 (LG) · 박수정 (LG) · 장소연 (현대) · 구민정 (현대) ||
|| 2000 || 장윤희 (LG) · 이윤희 (LG) · 강혜미 (현대) · 이명희 (현대) · 장소연 (현대) · 구민정 (현대) ||
|| 2001 || 김성희 (LG) · 정선혜 (LG) · 강혜미 (현대) · 이명희 (현대) · 장소연 (현대) · 구민정 (현대) ||
||<-2> 2004 V-투어 || 강혜미 (현대) · 구민정 (현대) · 장소연 (현대) · 정대영 (현대) · 박미경 (도공) · 한송이 (도공) ||
||<-3> MVP · 신인상 · 베스트 6 ||




이름포지션수상 횟수연도
장윤희레프트10회6회, 8회, 10회, 11회, '95, '96, '97, '98, '99, '00
장소연센터7회'95, '96, '97, '98, '99, '00, '01
박미희센터6회1회, 2회, 3회, 5회, 7회, 8회
이도희세터6회8회, 9회, 10회, 11회, '95, '96
홍지연센터6회9회, 11회, '95, '96, '97, '99
김남순라이트5회9회, 10회, 11회, '96, '97
박수정센터5회9회, 10회, 11회, '98, '99
정선혜레프트5회'95, '96, '97, '98, '01
강혜미세터4회'97, '98, '00, '01
이운임세터4회2회, 3회, 4회, 5회
구민정레프트3회'99, '00, '01


7.4. 기타 수상[편집]


연도서브상리베로
1995최애리 (흥국생명)
1996장윤희 (LG정유)
1997김성희 (LG정유)
1998박수정 (LG정유)구기란 (흥국생명)
1999정선혜 (LG정유)김희경 (현대건설)
2000정선혜 (LG정유)김희경 (현대건설)
2001김성희 (LG정유)김희경 (현대건설)
2002정대영 (현대건설)남지연 (LG정유)
2003김사니 (도로공사)이현지 (현대건설)
2004윤혜숙 (현대건설)구기란 (흥국생명)


8. 역대 지도자상과 심판상[편집]


연도남자부 지도자상여자부 지도자상심판상
1984우철우 (고려증권)이창호 (미도파)조영호
1985우철우 (고려증권)전호관 (현대)백대명
1986송만기 (현대차)전호관 (현대)장종술 (도로공사)
1987[A]송만기 (현대차)이임 (현대)김형실 (태광)없음
1987[B]송만기 (현대차)유석철 (KAL)이창호 (대농)강길용 (도로공사)없음
연도최우수지도자우수지도자최우수지도자우수지도자심판상
1995강만수 (현대)김갑제 (LG)없음주영호
2000신치용 (삼성화재)송만덕 (한양대)류화석 (현대건설)신일균 (도로공사)김건태


9. 해체 구단[편집]



9.1. 남자부[편집]


배구리그 초기부터 참가했던 구단으로 1998년 외환위기 때 모기업의 도산으로 해체했다. 탄생부터 소멸까지 야구의 해태 타이거즈와 유사한 면이 많다. 단, 타이거즈는 새 주인을 찾아 명맥을 잇지만 고려증권은 그러지 못했다. 그다지 좋지 않은 자금력에도 불구하고 진준택 감독을 중심으로 장윤창, 이경석(前 LIG 감독, 前 KOVO 경기감독관), 정의탁(前 평촌고 감독, 現 KOVO 경기감독관), 류중탁(2007-08 시즌 국가대표팀 전임감독, 現 명지대 감독)[7], 홍해천(現 성남 송림고 감독), 이성희(前 KGC인삼공사 감독), 박삼용(現 상무 배구단 감독), 어창선(前 도로공사 감독, 前 KOVO 경기감독관), 이수동 등의 스타플레이어를 바탕으로 현대자동차LG화재에 대항할 수 있었던 조직력의 배구단으로 올드 배구팬의 로망이기도 했다. 1998년 해체 이후 흩어진 멤버들은 각기 다른 곳으로 이적했고, 삼성화재로 이적했던 손재홍(前 현대건설 코치)이 2010-11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하면서 고려증권 출신 현역 선수들은 이제 한 명도 남지 않게 되었다.

구단명은 서울시청이지만 실제로는 서울시립대학교 재학생으로 구성했던 구단이다. 세계 청소년대회 우승멤버였던 서남원, 이성희, 박삼용, 어창선 등이 뛰었을 때는 강호들을 위협하기도 했으나 이후로는 실업 무대에 속한 대학 구단의 한계를 넘지 못하고 하위권을 맴돌았다. 체육특기자 제도 개정으로 인해 체육 계열 학과가 없었던 서울시립대는 1999학번을 끝으로 선수 스카웃이 중단되었고, 궁여지책으로 기존 구단으로 가지 못한 선수들(대표적으로 KEPCO 45의 세터 김상기)을 모아 유지하다가 해체되었다. 1991-92 대통령배 상무 우승의 주역 중 1명이었던 오욱환, V-리그 출범 후 현대캐피탈의 연속 우승에 공헌했고 은퇴 후 KOVO 심판으로 활동 중인 송인석이 서울시청 출신이며 최재효 KOVO 심판도 여기에서 세터로 뛰었다.

1995년 창단, 1996년 해체.


9.2. 여자부[편집]


1968년에 국세청으로 창단하여 1973년에 미도파백화점을 거쳐 미도파백화점의 모기업이었던 대농에서 운영하다 1991년부터 미도파로 회귀했다가 1994년 대농그룹의 경영악화로 효성 배구단에 흡수합병되었다. 1969년 국세청 시절부터 미도파를 거쳐 1980년 대농에 이르기까지 11년동안 184연승이라는 기록을 만들어 내는 등 명문으로 군림했다. 1980년대에 현대와 라이벌 관계였고, 미도파 출신 선수들이 국가대표로 많이 뽑히기도 했다. 미도파 출신으로 가장 유명했던 감독은 이창호, 코치는 김형실이었으며, 선수가 1970년대에 조혜정GS칼텍스 감독과 1980년대에 박미희(센터, 現 흥국생명 감독)[8], 이운임(세터, 前 KOVO 경기감독관) 등이었다. 모기업 대농그룹이 양백여자상업고등학교[9]를 소유하던 터라 해당 학교 출신들이 대거 스카웃됐고,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배구부를 지원했다.

1969년에 구 제일은행 여자배구단 선수들을 주축으로 창단하여 1998년까지 있었던 구단으로 해체 전까지 SK케미칼이 운영했다. 구단명은 SK그룹 내 운영 주체 및 사명 변경에 맞춰서 변경했는데 선경-선경합섬-선경인더스트리-SK케미칼로 변했다. IMF 위기 발발 초기에 SK증권 여자 농구단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갑작스럽게 해체되어 여농-여배 팬들을 당황하게 했다. 간판 선수는 류연수[10], 김연(농구선수 김훈의 누나), 김지연, 강혜미, 장소연 등이었으며, 감독이었던 후국기 감독(후인정의 아버지) 역시 유명했다. 류화석 감독 시절 호남정유-LG정유의 슈퍼리그 92연승을 저지하고, 1997 시즌 준우승도 기록할만큼 LG정유의 대항마로 떠오 를만큼 배구 팬들에게 기대가 많았던 구단이었다.

1973년에 한일합섬이 창단한 배구단. 대통령배-슈퍼리그의 콩라인으로, 역대 준우승 2위(4회)에 빛나는 구단이다.[11] 그만큼 현대건설호남정유-LG정유의 명실상부한 라이벌로 명승부를 많이 제조했지만 끝발이 아쉬웠던 나머지 준우승-3위를 저렇게나 많이 기록했다. 하지만 올드 팬들은 남자부의 고려증권만큼이나 강팀으로 인식한다. 1997년 외환위기 때 모기업 한일그룹의 부도로 해체됐으며 해체 당시에 김남순, 최광희, 구민정, 박미경, 이수정 등이 간판 선수로 LG정유 선수들이 다 국가대표를 해먹던 시절에 자주 국가대표로 뽑히기도 했다. 한편, 재밌게도 한일그룹이 수원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現 한봄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한효학원을 지닌 덕에 이 학교 출신의 졸업자들을 대거 스카웃하기도 했다.[12] 다만, 흑역사가 은근 많은 구단이기도 했는데, 1986년 5공 최악의 패악질로 유명한 국제그룹 사건 때 국제그룹 인수대상 기업이었던 배구단의 모그룹 한일그룹이 이미 배구단이 있다는 이유로 국제 배구단의 흡수합병을 거부하기도 했다. 또한 1995년에 미등록선수 출전으로 인해 몰수패로 준우승을 거뒀음에도 모든 기록이 말소되는 병크가 있기도. SPOTV에서 배구 해설위원을 지냈고 KOVO 경기위원으로 있는 유애자, 현 V-리그 심판인 전영아가 선수 시절 한일합섬에서 뛰었으며 박승수 전 대한배구협회 회장, 오한남 현 회장이 감독을 역임한 바 있다.

애석하게도 효성은 1973년 창단 이래 해체하는 순간까지 시종일관 약체였다. 어느 정도였냐 하면 세 번 중 두 번꼴로 리그 꼴찌를 기록했을 정도. 무엇보다도 1992년 초에 있었던 체벌 사건으로 인해 이미지가 좋지 않았다. 1994년에 대농 프랜차이즈를 합병했고, 역시 1998년 IMF로 해체됐다. 지금은 이재영, 이다영 자매의 어머니로 더 유명한 세터 김경희가 효성의 선수였다. V-리그에서 심판으로 활동하는 강주희도 효성에서 뛰었다.

1977년 전매청 여자배구단을 롯데그룹에서 인수·재창단하여 1981년 같은 계열사인 한국후지필름으로 운영권이 이관됐다. 효성과 마찬가지로 밑바닥을 든든히 지켜줬던(?) 구단.

국제그룹이 1982년 선경으로부터 유공 여자 배구단을 인수하여 1986년 해체까지 4년간 운영했던 구단이다. 상기됐듯 5공 정권의 대표적 패악질 사건인 국제그룹 해체 때 인수 기업인 한일그룹이 국제 배구단의 합병을 거부하여[13] 해체됐다. 1985년 국제그룹 사건 때 농심이 국제 배구단 인수에 관심을 보였는데, 만약 농심이 인수했다면 후지필름과 집안 싸움이 일어날 뻔 했을 터. 그리고 국제그룹의 전신이 유공이었으니 선경 배구단과도 플래그가 성립된다.

1998년 외환위기 시절 여기에 언급된 여자 배구단이 모두 해체됐다. 당시 한일합섬에 있던 김남순, 최광희, 이수정이 담배인삼공사, 구민정현대건설로, 박미경이 도로공사로, 그리고 SK케미칼의 강혜미, 장소연은 현대건설로 옮겼다.


10. 역대 신인 드래프트[편집]


기본적으로 자유 계약제이기는 했지만 각 구단마다 유대관계를 갖던 아마추어 구단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남자부의 경우 대한항공-인하대, 현대자동차-한양대, 성균관대[14], LG화재-경기대, 여자부의 경우 미도파 배구단-광주여상과 옛 양백여상, 한일합섬 배구단-수원한일여상, 흥국생명-세화여고, LG정유-일신여상[15] 등이 있다.

드래프트는 여러 번 시도했다가 무산된 과거가 있는데, 1990년대 초반 여자부에서 실시한 드래프트의 경우, 선수 한 명을 지명하는 것이 아닌 한 학교 졸업생 전체를 지명했다. 1992년 선경케미칼 배구단에서 경남여고 졸업생 전체(강혜미, 장소연 포함)를 지명했던 것이 그 예이다.

현재와 같은 형태로 실시된 최초의 드래프트는 2000년 여자부 드래프트로, 전체 1번으로 지명된 김세영(지명 당시 이름이 김향숙)은 2020-21 시즌까지 현역으로 있다 은퇴를 했다. 2021-22 시즌을 기준으로 여자부 한송이김해란이 실업리그 시대에 드래프트로 데뷔한 최후의 2인이 됐다.


10.1. 1992년[편집]




10.2. 2002년[편집]




11. 관련 틀[편집]


파일:대통령배전국남녀배구대회 로고.png대통령배 · 슈퍼리그 · V-투어
여자부 MVP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33.3%><rowbgcolor=#fff,#191919> 제1회 (1984) ||<width=33.3%> 제2회 (1985) ||<width=33.3%> 제3회 (1986) ||
|| 박미희
미도파 / 센터 || 이은경
미도파 || 김정순
미도파 ||
||<rowbgcolor=#fff,#191919> 제4회 (1987) || 제5회 (1987) || 제6회 (1988) ||
|| 이은경
현대 || 이운임
대농 || 양혜숙
현대 ||
||<rowbgcolor=#fff,#191919> 제7회 (1990) || 제8회 (1991) || 제9회 (1992) ||
|| 유영미
현대 || 장윤희
호남정유 / 레프트 || 이도희
호남정유 / 세터 ||
||<rowbgcolor=#fff,#191919> 제10회 (1992) || 제11회 (1993) || '95 슈퍼리그 ||
|| 홍지연
호남정유 / 센터 || 박수정
호남정유 / 센터 || 장윤희
호남정유 / 레프트 ||
||<rowbgcolor=#fff,#191919> '96 슈퍼리그 || '97 슈퍼리그 || '98 슈퍼리그 ||
|| 정선혜
LG정유 / 레프트 ||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
||<rowbgcolor=#fff,#191919> '99 슈퍼리그 || 2000 슈퍼리그 || 2001 슈퍼리그 ||
||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 구민정
현대건설 / 레프트 || 장소연
현대건설 / 센터 ||
||<rowbgcolor=#fff,#191919> 2002 슈퍼리그 || 2003 슈퍼리그 || 2004 V-Tour ||
|| 강혜미
현대건설 / 세터 || 장소연
현대건설 / 센터 || 구민정
현대건설 / 레프트 ||
||<-3><bgcolor=#ee82ee>V-리그 챔피언 결정전 MVP||
||<-3><bgcolor=#59a1ad> MVP · 신인상 · 베스트 6 ||



파일:대통령배전국남녀배구대회 로고.png대통령배 · 슈퍼리그 · V-투어
여자부 신인상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rowbgcolor=#fff,#191919> 제3회 (1986) ||<width=25%> 제4회 (1987) ||<width=25%> 제5회 (1987) ||<width=25%> 제6회 (1988) ||
|| 지경희
현대건설 / 레프트 || 김귀순
한일합섬 || 남순옥
태광산업 / 센터 || 홍지연
호남정유 / 센터 ||
||<rowbgcolor=#fff,#191919> 제7회 (1990) || 제8회 (1991) || 제9회 (1992) || 제10회 (1992) ||
|| 류연수
선경 / 센터 || 박수정
호남정유 / 센터 || 박미경
선경 / 라이트 || 장소연
선경 / 센터 ||
||<rowbgcolor=#fff,#191919> 제11회 (1994) || '95 슈퍼리그 || '97 슈퍼리그 || '98 슈퍼리그 ||
|| 정선혜
호남정유 / 레프트 || 강혜연
효성 / 센터 || 이명희
현대건설 / 센터 || 이윤희
LG정유 / 레프트 ||
||<rowbgcolor=#fff,#191919> '99 슈퍼리그 || 2000 슈퍼리그 || 2002 슈퍼리그 || 2003 슈퍼리그 ||
|| 김진이
담배인삼공사 / 레프트 || 한유미
현대건설 / 레프트 || 박경낭
담배인삼공사 / 라이트 || 한송이
한국도로공사 / 레프트 ||
||<rowbgcolor=#fff,#191919> 2004 V-Tour ||<-3><|2>※ 제1회, 2회 대통령배와 '96, 2001 슈퍼리그 신인왕 없음.
※ 프로 출범 이후 2005 신인왕부터는 V-리그 여자부 신인상
||
|| 지정희
KT&G / 센터 ||
||<-4><bgcolor=#59a1ad> MVP · 신인상 · 베스트 6 ||



파일:대통령배전국남녀배구대회 로고.png슈퍼리그 · V-투어
리베로상 1998~2004
||
[ 펼치기 · 접기 ]

#000,#e5e5e5 ||<tablewidth=100%><width=33.3%><rowbgcolor=#fff,#191919> {{{-2 1998}}} ||<width=33.3%> {{{-2 1999}}} ||<width=33.3%> {{{-2 2000}}} || || [[이호(배구인)|{{{-1 {{{#000 이호}}}}}}]][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2 {{{#000,#e5e5e5 ^^(현대자동차)^^}}}}}}]] [br] [[구기란|{{{-1 {{{#000 구기란}}}}}}]][br][[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 {{{#000,#e5e5e5 ^^(흥국생명)^^}}}}}}]] || [[이호(배구인)|{{{-1 {{{#000 이호}}}}}}]][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2 {{{#000,#e5e5e5 ^^(현대자동차)^^}}}}}}]] [br] {{{-1 김희경}}}[br][[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2 {{{#000,#e5e5e5 ^^(현대건설)^^}}}}}}]] || [[여오현|{{{-1 {{{#000 여오현}}}}}}]][br][[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2 {{{#000,#e5e5e5 ^^(삼성화재)^^}}}}}}]] [br] {{{-1 김희경}}}[br][[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2 {{{#000,#e5e5e5 ^^(현대건설)^^}}}}}}]] || ||<rowbgcolor=#fff,#191919> {{{-2 2001 }}} || {{{-2 2002 }}} || {{{-2 2003 }}} || || [[여오현|{{{-1 {{{#000 여오현}}}}}}]][br][[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2 {{{#000,#e5e5e5 ^^(삼성화재)^^}}}}}}]] [br] {{{-1 김희경}}}[br][[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2 {{{#000,#e5e5e5 ^^(현대건설)^^}}}}}}]] || {{{-1 이영수}}}[br][[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2 {{{#000,#e5e5e5 ^^(LG화재)^^}}}}}}]] [br] [[남지연(배구)|{{{-1 {{{#000 남지연}}}}}}]][br][[GS칼텍스 서울 KIXX|{{{-2 {{{#000,#e5e5e5 ^^(LG정유)^^}}}}}}]] || [[이호(배구인)|{{{-1 {{{#000 이호}}}}}}]][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2 {{{#000,#e5e5e5 ^^(현대자동차)^^}}}}}}]] [br] {{{-1 이현지}}}[br][[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2 {{{#000,#e5e5e5 (현대건설)}}}}}}]] || ||<rowbgcolor=#fff,#191919> {{{-2 2004 }}} ||<-2><|2>{{{-3 ※ 프로 출범 이후 수상자는 아래 링크를 참고. [br] [[틀:V-리그 남자부 기록상|{{{#0066b3 '''V-리그 남자부 기록상 보기'''}}}]] [br][[틀:V-리그 남자부 베스트7/2014~2020|{{{#0066b3 ''' V-리그 남자부 베스트7 보기'''}}}]] [br] [[틀:V-리그 여자부 기록상|{{{#ee82ee '''V-리그 여자부 기록상 보기'''}}}]] [br] [[틀:V-리그 여자부 베스트7/2014~2020|{{{#ee82ee ''' V-리그 여자부 베스트7 보기'''}}}]]}}} || || [[여오현|{{{-1 {{{#000 여오현}}}}}}]][br][[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2 {{{#000,#e5e5e5 ^^(삼성화재)^^}}}}}}]] [br] [[구기란|{{{-1 {{{#000 구기란}}}}}}]][br][[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 {{{#000,#e5e5e5 ^^(흥국생명)^^}}}}}}]] || ||<-4><bgcolor=#59a1ad> {{{#fff {{{-2 [[틀:슈퍼리그 여자부 MVP|{{{#fff MVP}}}]] · [[틀:슈퍼리그 여자부 신인상|{{{#fff 신인상}}}]] · [[틀:슈퍼리그 여자부 베스트6|{{{#fff 베스트 6}}}]]}}}}}}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한국프로배구 신인드래프트
한국프로배구 신인드래프트
문서의 r19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0:45:32에 나무위키 대통령배 전국남녀배구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당시 배구공은 어느 색깔도 들어가지 않은 흰색이었다. 그래서 백구의 대제전이라는 말을 쓰게 된 것. 흰색에 붉은색과 노란색이 결합된 현행 배구공이 본격적으로 활용된 것은 2000년대 중반 즈음부터였다.[2] 대한항공은 1986년에 재창단했다.[3] 대통령배 초대 결승전이었던 1984 시즌에 저러했다. 워낙 인기가 많아서 표를 못 산 행렬들이 되돌아가는가 하면, 경기 전부터 여러 스포츠 관련 방송그래봤자 KBS였겠지에서 우승 구단 예상 거리 인터뷰를 할 정도였다.[4] A B C 백구의 대제전에서 유일한 대학교 우승 구단으로 88학번 싹쓸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했던 레프트 하종화(前 현대캐피탈 감독), 센터 윤종일, 레프트 문양훈(現 한양대 코치), 세터 장재원에 89학번 라이트 강성형(現 현대건설 감독), 90학번 센터 윤종옥(대한항공)(89학번 센터 장홍석(LG화재)도 제법 뛰었지만 윤종옥의 출전 비중이 높았다.)을 베스트로 내서 우승했다.[A] A B [5] A B C 한일합섬의 미등록선수 출전으로 인한 몰수패로 준우승 구단 없음.[6] 지민경의 고모.[B] [7] 삼성화재 소속의 레프트 류윤식의 아버지다. 현재 류윤식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고 있으며, 2019-20 시즌이 끝나고 제대하는대로 소속 구에 합류할 예정이다.[8] 사실 박미희 감독은 본 포지션이 센터이나 양쪽 윙에서도 수준급의 공격을 펼칠 정도로 올라운드 플레이어였다.[9] 2006년 폐교.[10] 2020년 현재 현대건설의 센터로 뛰고 있는 이다현의 어머니.[11] 위의 표를 보면 알겠지만 현대-현대건설 프랜차이즈가 대통령배-슈퍼리그 21시즌동안 우승과 준우승을 거의 해먹다 시피했다.[12] 한일전산여고는 학교법인 한효학원에서 한봄학원으로 계열 분리되면서 수원전산여고로 교명을 바꿨다가 2019년에 다시 한봄고등학교로 개칭했다.[13] 이미 이 시기에 한일그룹 내에 한일합섬 배구단이 존재했기 때문이다.[14] 현재 관점으로 보면 성균관대의 모 재단이 삼성그룹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다소 의외일 수도 있는데, 삼성화재가 1995년 창단하기 전까지만 해도 양 구단의 유대관계는 끈끈했다.[15] 상기 두 학교는 회사 내 산업체고등학교에 세운 배구부를 일종의 팜시스템처럼 활용한 경우고, 세화여고의 경우 모 재단이 흥국생명의 모기업인 태광그룹이라서, 그리고 LG정유의 경우 김철용 감독이 일신여상을 무적으로 만들었던 경험 때문에 이쪽 출신 선수들이 꽤 있었다.

관련 문서